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안산시·상록구·반월동·우리동네 알아보기

안산시 상록구 반월동 소식

by 반월안산시미디어 2022. 12. 27. 14:50

본문

반월동이라는 유래에 대해서 알아보기로 했다. 우선 상록구청의 홈페이지를 방문하여 반월행정복지센터에서 우리동의 유래를 클릭하면 다음과 같이 나온다.

 

'마을 가운데 수리산 줄기의 속칭이 반월산이라 하여 그이름을 따 반월이라 하였으며 예전에 화성군 반월면 관내에서 팔곡동 담너머 마을을 큰반월이라 하 였고 담너머보다 호수가 적은 곳이라 하여 작은반월이라 불렀다.

 

본래는 화성군 매송면 월리와 본오동 경계에 사람들이 살았으나 그곳이 지대가 높고 식수도 좋지 않아 조선말에 담너머 서쪽인 현재의 위치로 이주하였다.

 

광주이씨와 제씨등 67호가 살았던 작은 반월은 마을 동쪽을 웃말, 서쪽을 아랫마을 중앙을 가운뎃말이라 칭했는데, 신도시개발로 1986년 폐동되어 원주민 대부분이 본오동, 수원, 남양, 인천등지로 이주했으며 1994년 12월 26일 행정구역 개편 (대통령령 제14,434호)으로 안산시에 편입되기에 이르렀다.'[출처: 안산시 상록구청 홈페이지]

 

우리동의 연혁을 살펴보면,

 

-1912. 3. 31. - 광주군 북방, 성곳, 월곡면을 안산군으로 개칭,

 

-1914. 3. 3. - 군 통폐합으로 수원군 반월면으로 개칭,

 

-1949. 8. 15. - 수원읍이 수원시로 승격과 동시 화성군 반월면으로 개칭,

 

-1994. 12. 26. - 대통령령 제14434호에 의거 행정구역 변경으로 안산시 편입, 안산시 조례 제572호에 의거 반월동으로 개편 되었고,

 

지역특성은,

 

-수원시, 군포시, 화성시등과 연접해 있으며, 산업도로, 전철, 서해안고속도, 고속철이 소재지를 관통하는 사통팔달의 안산시 관문지역이며,

 

-도시, 농촌 복합지역으로서 시 전체 면적의 9.1%를 차지하고 있고,

 

-동 전체면적의 94.2%가 개발제한구역으로 개발과 제약이 병존하는 지역으로 형성되어 있어 타 지역에 비해 도시형성이 크게 뒤쳐지는 상황이다.

 

-행정동인 반월동에는 법정동으로 사사동, 건건동, 팔곡일동이 있으며, 반월역에서 수인산업도로를 바라보면 건건동 좌측으로 건건천이 흐르고, 건건동 우측에는 팔곡동이 있고 팔곡동 우측으로는 반월천이 있으며, 건건동과 팔곡동 뒷쪽 군포방향에서 반월천 방향으로 건건천이 마을을 감싸며 흐른다.

 

따라서, 법정동인 건건동과 팔곡일동은 장마나 집중호우가 발생되면 침수피해의 영향권에 들수 밖에 없다. 그래서 그런지 건건천의 본류에는 천뚝방에 콘크리이트로 수직벽을 세웠다.

 

그러나 2022년 8월 7일 많은 폭우가 내렸고 건건동과 팔곡일동 뒤편쪽의 건건천이 범람하여 남사평길과 건건천길 일대를 침수시켰고 많은 피해를  발생시켰다. 

 

반월동의 생태계를 살펴보면,

 

반월천에는 물고기로 동자개, 매기, 잉어와 개구리, 다슬기, 재첩등이 발견되었다. 건건천에는 잉어와 많은 물고기의 치어들이 살아가고 있으며, 민물조게도 서식하고 있다.

 

최근 반월동에 있는 인정아파트를 철거하고 재개발이 들어서며 그동안의 생활하수등이 건건천과 반월천을 오염시켜 왔으나 주민들이 이주하고 아파트를 건설하면서 생활오수관을 설치하여 현재는 맑은 물을 유지하고 있다.

 

반월동 맞은편에 있는 수인산업도로를 건너면 용담산이 있으며 용담산 작은 계곡에는 민물가제와 산 개구리들이 서식하고 있다.

 

학교현황은,

 

-반월초등학교

-창촌초등학교

-반월중학교

-경기모바일과학고등학교 등이 있다.

 

전철역은 4호선 반월역이 있다.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